일상다반사

고사성어 - ** 刻舟求劍 (각주구검)

여생찬란 餘生燦爛 2025. 8. 22. 17:57
  • 刻(새길 각) : 새기다, 파다.
  • 舟(배 주) : 배.
  • 求(구할 구) : 구하다, 찾다.
  • 劍(칼 검) : 검(칼).

 “ 배에 새기어 칼을 구한다 ”

 

刻舟求劍(각주구검) 이 성어는 " 시대·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옛 방법을 고집하는 어리석음” 을 말한다.

 

춘추시대 초나라에서 한 나그네가 강을 건너던 중 허리에 찬 칼을 물에 떨어뜨렸다. 당황한 그는 즉시 배 난간에 칼이 떨어진 지점을 칼로 표시했다.
배가 강을 따라 흘러간 뒤, 그는 표시된 자리에서 강물 속을 더듬었다. 당연히 칼은 그 곳에 있을리가 없었다.
이를 본 사람들이 크게 웃으며 말했다.

“칼은 강물에 떨어졌는데, 어찌 배에다 표시하느냐?”

이 이야기가 바로 刻舟求劍이다.

 

刻舟求劍(각주구검) 현존 사례

  1. 비즈니스·기술 분야
    • 디지털 전환 시대에 아날로그 방식만 고집하는 기업.
    • 예: 온라인 결제·모바일 서비스가 일반화되었는데도 종이 전표와 현금 결제만 고집하는 경우.

 

2. 개인 생활

  • 건강 관리에서 새로운 연구와 습관 개선을 무시하고 옛 풍습만 따르는 태도.
  • 예: 의학적으로 근거가 없는 민간요법만 믿고 현대적 치료를 거부하는 사례.

 

이   刻舟求劍 성어가 주는 영향

  • 경계의 의미 : 변화를 무시하면 손실과 낭비가 따른다.
  • 학습의 촉구 : 시대에 맞게 적응하고 지혜롭게 대처해야 한다.
  • 자기성찰 : 나의 사고방식이 혹시 ‘각주구검’은 아닌지 점검할 기회가 된다.

 

刻舟求劍(각주구검) 의 이야기는 단순한 우화가 아니다.
흘러가는 강물은 곧 시간과 변화를 상징한다.
우리가 붙잡으려는 劍(검)은 익숙한 관습과 집착일 수 있다.

오늘의 인류가 추구해야 할 가치는,

  • 변화에 대한 열린 마음
  • 지속적인 배움과 적응
  • 과거의 교훈을 존중하되 현재에 맞게 재창조하는 지혜

삶은 멈추지 않고 흐르는 강물이다.
배에 새긴 표식이 아닌, 현재의 흐름 속에서 칼을 건져내는 지혜가 필요하다.
刻舟求劍 (각주구검) 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지는 진정한 메시지다.

 

刻舟求劍 - 커 저우 치우 지앤

 

“ 칼은 강물 속에 있고, 답은 내 마음 속에 있지요~  ^^ 🚤⚔️ ”

 

https://mynote0200.tistory.com/100 관련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