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다반사

고사성어 - ** 下石上臺(하석상대)

여생찬란 餘生燦爛 2025. 8. 20. 08:29
  • 下(하) : 아래, 낮추다, 기초
  • 石(석) : 돌
  • 上(상) : 위, 올리다
  • 臺(대) : 대, 단, 높은 자리

** “아래에 돌 빼서 윗 돌 괸다" - 임시방편

기초가 부족한데 억지로 보완해 겉만 그럴듯하게 꾸미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화장으로 가리는 임시방편, 피부 트러블이나 주름을 장기적 관리(식습관 개선, 꾸준한 보습, 충분한 수면)로 해결하지 않고, 두꺼운 화장품으로 일시적으로 가리는 경우.겉모습은 당장 좋아 보이지만,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 않는 임시방편을  사례로 볼 수 있음.

 

고대 중국의 역사서 *후한서(後漢書)*에 기록된 일화에서 비롯됩니다. 한 관료가 궁전을 지을 때 기초 공사가 부실했는데, 무너질 위험이 있자 뒤늦게 돌을 아래에 괴어 억지로 버텨냈습니다. 겉으로 보기엔 화려했지만 속은 허술했기에, 훗날 사람들이 이를 두고 **“下石上臺(하석상대)”**라 비유한 것입니다.

 

정책이나 제도가 근본 대책 없이 보여주기식으로만 운영될 때.

자기계발이나 건강관리에서도 기초가 부실한데 단기간 성과만 추구하는 경우.

기업에서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고 임시방편의 땜질식 대응만 하는 상황. 등

 

이처럼 “ 下石上臺 (하석상대)”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반복되는 인간사의 단면을 잘 드러냅니다.

하석상대가 미치는 영향

  • 부정적 영향 : 단기적으로는 문제가 가려지지만, 결국 더 큰 붕괴나 손실을 불러옵니다.
  • 심리적 영향 : 겉치레에 안주하면 자기기만이 깊어지고, 진정한 발전은 멀어집니다.
  • 사회적 영향 : 뿌리 깊은 문제 해결을 외면하면 공동체 전체의 신뢰가 흔들립니다.

 

하석상대의 교훈은 **“근본을 튼튼히 하라”**는 것입니다.

  • 정직과 성실 : 눈앞의 이익보다 기초를 다지는 정직한 노력이 중요합니다.
  • 지속가능성 : 임시방편보다 장기적 안목의 기반을 세우는 자세.
  • 내면의 성장 : 외형적 화려함보다 내실 있는 삶이 진정한 풍요를 이끕니다.

 

사람의 인생도 건축과 같습니다. 기초가 부실하면 화려한 장식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눈에 보이는 성취보다 보이지 않는 뿌리를 단단히 할 때, 비로소 무너지지 않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오늘도 ‘下石上臺(하석상대)’의 유혹을 넘어, 묵묵히 기초를 다져가는 삶을 선택해야겠습니다.

“돌 하나 얹어 땜질하듯 살다 보면… 결국 내 인생 집이 삐걱삐걱 흔들릴지도 몰라요! 🪨🏠🤣”

 

https://mynote0200.tistory.com/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