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他(타) : 다른, 남의
- 山(산) : 산
- 之(지) : ~의 (고전적인 조사)
- 石(석) : 돌
👉 직역하면 *“다른 산의 돌”*이라는 뜻입니다.
다른 산의 돌을 나의 보석 다듬는 숫돌로..........
他山之石(타산지석) 은 다른 산에서 나온 거친 돌도 옥을 가는 숫돌이 될 수 있다는 비유에서 비롯된 성어입니다.
즉, 다른 사람의 잘못이나 부족한 점이라도 나에게는 교훈이 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시경(詩經)·소아(小雅)》**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당시 군자가 덕을 닦을 때는 비록 다른 사람의 옳지 못한 말과 행동이라도 자기 자신을 반성하고 수양하는 거울로 삼아야 한다는 교훈을 주었습니다.
기업 경영에서의 他山之石 (타산지석) 사례
경쟁사의 실패 전략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같은 실수를 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이 무리한 확장 정책으로 도산했다면, 이를 교훈 삼아 다른 기업은 보수적인 자금 운용을 택합니다.
이 이미지는 기업 회의실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 경영진 두 명이 회의 테이블에 앉아 문서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 모니터 화면에는 **급격히 하락하는 붉은색 그래프와 ‘실패한 확장 전략’**이라는 문구가 표시되어, 경쟁사의 무리한 확장 실패를 상징합니다.
- 노트북 화면에는 **‘보수적 자금 운용’**이라는 제목과 그래프가 보여, 실패 사례를 교훈 삼아 보다 안정적인 재무 전략을 선택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 테이블 위에는 재무 그래프 자료가 놓여 있고, 참석자들이 이를 가리키며 논의하는 모습은 “타산지석”의 교훈, 즉 남의 실패를 거울삼아 자신들의 전략을 조정하는 기업 경영 사례를 시각적으로 잘 보여줍니다.
他山之石(타산지석)은 단순히 개인의 교훈에 그치지 않고, 인류 사회 전체에 중요한 가치를 제시합니다.
- 겸손 : 남의 잘못을 보며 교만하지 않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태도.
- 학습과 성장 : 타인의 경험을 내 발전의 디딤돌로 삼는 지혜.
- 공존과 발전 : 인류가 함께 실수와 성취를 공유하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노력.
오늘날 기후 위기, 불평등, 전쟁 같은 문제 역시 인류가 서로의 실패와 성공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남의 잘못도 나의 거울이 된다 — 他山之石(타산지석) 의 지혜로 오늘을 성찰하자. **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 ** 破顔大笑 (파안대소)가 열어주는 관계의 문 (0) | 2025.08.19 |
---|---|
고사성어 - ** 平沙落雁 (평사낙안) (4) | 2025.08.18 |
고사성어 - ** 쾌도난마(快刀亂麻)처럼 시원하게! (6) | 2025.08.16 |
고사성어 - ** 七顚八起 (칠전팔기) (20) | 2025.08.13 |
고사성어 - ** 自家撞着(자가당착) (10) | 202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