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塞(새): 변방, 요새, 국경.
- 翁(옹): 늙은이, 노인.
- 之(지): ~의 (소유격 조사).
- 馬(마): 말(동물).
👉 “변방의 늙은이의 말”

새옹지마 이야기
옛날 중국 변방에 한 노인, ‘새옹(塞翁)’이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기르던 말이 국경 너머로 달아나 버렸습니다.
사람들은 “큰 불행을 당하셨군요.”라며 안타까워했지만, 새옹은 담담하게 말했습니다.
“이 일이 꼭 불행이 될지, 누가 알겠는가.”
며칠 뒤, 그 말은 더 좋은 준마를 데리고 돌아왔습니다. 사람들은 “큰 행운을 얻으셨습니다!”라며 기뻐했지만, 새옹은 여전히 태연했습니다.
“이 일이 꼭 행운일지, 누가 알겠는가.”
그러던 어느 날, 새옹의 아들이 그 말에 올라타다 떨어져 크게 다쳤습니다. 사람들은 “정말 운이 없으십니다.”라며 안타까워했지요. 그러나 새옹은 또다시 말했습니다.
“이 일이 불운일지, 누가 알겠는가.”
얼마 지나지 않아 전쟁이 일어났습니다. 마을의 젊은이들이 징집되어 대부분 목숨을 잃었지만, 새옹의 아들은 다친 덕분에 전쟁에 나가지 않아 목숨을 건질 수 있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비롯된 말이 바로 **새옹지마(塞翁之馬)**입니다.
즉, *“인생의 화와 복은 예측할 수 없으니 섣불리 단정하지 말라.”*는 뜻이지요.

폭풍이 지나간 불행 속에도 행운이 숨어 있습니다

눈앞의 실패와 좌절이 나중에는 새로운 기회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또 한 행운 속에도 불행이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
당장의 성공이나 행운에 도취되면 오히려 위험을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塞翁之馬(새옹지마)는 순간의 상황만으로 인생 전체를 평가하지 말라는 가르침입니다.
개인의 사례로는 애써 준비한 시험 낙방이 더 나은 진로를 찾게 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고, 건강 문제로 인해 생활 습관을 바꾸면서 더 긴 삶을 누리기도 합니다.

사회적 현상으론 기업 위기가 혁신을 불러오기도 하고, 기술 실패가 새로운 발명의 단초가 되기도 합니다.
지금의 불운”을 지나치게 비관하지도 말고, “지금의 행운”에 자만하지 않는 균형 잡힌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塞翁之馬(새옹지마) 의 지혜는 결국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입니다.
혹시 지금 겪고 있는 일이 불운처럼 보이더라도, 그것이 나중에는 감사할 일이 될지도 모릅니다.
“사람의 화와 복은 아침저녁으로 바뀐다.” (人之禍福, 旦暮異也) 라는 말도 있습니다...
塞翁之馬 - 싸이 웡 즈 마

🐎 " 언젠가 그 말이 더 좋은 친구 데리고 돌아올지 누가 알겠습니까...? ”
https://mynote0200.tistory.com/102 관련 추천글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 ** 單刀直入 (단도직입), 곧장 핵심으로 들어가는... (2) | 2025.08.24 |
---|---|
고사성어 - **南柯一夢 (남가일몽) 부귀영화는 한낱 꿈일 뿐” (4) | 2025.08.24 |
고사성어 - ** 刻舟求劍 (각주구검) (0) | 2025.08.22 |
고사성어 - ** 鷄鳴狗盜 (계명구도) (6) | 2025.08.21 |
포기하지 마라. 가장 어두운 순간이 바로 새벽 직전이다. (0) | 2025.08.20 |